본문 바로가기

내가 읽은 책

집밥의 힘

식사대용 1위인 라면, 두뇌 파괴도 1위

대한민국에서 주식을 제외하고 가장 많이 먹는 음식을 들라고 한다면 단영 라면이 1위 일 것이다. 그만큼 라면은 인스턴트식품의 대명사로 자리 잡은지 오래다.

 

하지만 아이의 두뇌발달을 생각할 때 라면은 반드시 피해야 할 음식 1위이기도 하다. 라면의 주원료는 대부분 수입산이다. 우리나라의 밀 생산량은 너무 적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일이다. 그런데 수입밀가루는 재배 과정에서 과다한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고 재배 후에도 오래 보관하기 위해 방부제, 살충제, 표백제 드응ㄹ 사용한다. 게다가 라면에는 많은 양의 화학조미료가 들어있는데 화학죠미료는 대표적인 흥분독소로 두뇌 신경세포간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한다. 아무리 평소에 조미료를 덜 쓰고 유기농 시굼을 먹는다고 해도 출출할 때 먹는 라면 한 그릇이 모든 노력을 허사로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라면이 기름에 튀긴 음식이란 것ㄷ 문제다. 밀가루를 기름에 튀기면 단백질이 파괴되고 고열량 식품으로 바뀐다. 더구나 라면을 튀기는 식물성 팜유엔 쇠고기 보다 포화지방산이 더 많이 들어 있다. 라면 스프에 들어 있는 극소량의 채소 역시 제조공정을 거치면서 비타민과 무기질이 상당 부분 파괴되어 있다.

 

-------------

모든 아이들이 좋아하는 음식, 그리고 어른이 나조차도 굉장히 열광하는 음식 중 하나인 라면.

딸 아이에게 이 글을 보여주었다. 라면사랑이 줄어드려나?

 

 

6개월만에 평균 성적을 따라잡은 학업 부진아들 - 오메가3 지방산

오메가3는 사교성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당신의 아이가 ADHD라면 오메가3 지방산을 충분히 먹을 수 있도록 등푸른 생선 고등어와 꽁치등을 많이 먹여야 한다.

비행청소년을 예방하는 지름길 - 레시틴

레시틴은 생선과 조류의 알이나 콩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래서 오늘 두부를 넣은 된장국을 준비했다.

아이에게 학습 미네랄을 제공하라 - 아연

아연의 뇌세포막의 구조와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고 기억물질을 합성하는데 관여한다. 아연을 충분히 섭쥐하면 기억력이 향상된다.

아연은 주로 생선과, 굴, 게 새우 등의 어패류와 쇠고기와 같은 육류에 풍부하다.

공부하는 아이를 위한 최고의 안정제 - 칼슘

칼슘은 99%가 뼈에 저장되고 1%만이 혈액에 녹아 산과 알칼리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그 1%가 매우 중요

칼슘은 세포와 세포 사이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미네랄이다. 시냅스 밖에서 시냅스 안으로 칼슘이 들어오면 시냅스는 자기 주머니를 터뜨리고, 이때 방출된 신경전달물질이 다른 신경세포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다.

칼슘이 제 기능을 발현하려면 마그네슘도 필요.

우유와 콩을 먹여야 한다.

'내가 읽은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 속의 악마  (0) 2013.02.18
초승달 기기 다카타로  (0) 2013.02.08
꿈에는 힘이 있다 - 안철수  (0) 2012.02.08
드링킹 - 캐롤라인 냅  (1) 2012.02.01
정조와 철인정치시대를 읽는중  (1) 2011.12.28